[歷史] 고려와 북방민족간의 전쟁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8 12:17
본문
Download : 고려와 북방민족간의 전쟁.hwp
곧 고려를 사전에 견제하여 장차 송과의 전쟁에서 유리한 군사적, 외교적 우위를 얻기 위함이었다. 거란이 고려를 침입한 目標(목표)는 송과 고려의 외교관계를 차단하기 위해서였다. 흔히 서희를 주전론자로 보고 자주정신을 드높인 인물로 평가하는데, 이는 자주와 사대라는 단순한 논리에서 나온 견해일 수 있따 오히려 서희는 냉철한 외교戰略가로 보는 것이 옳을 지도 모른다. ※ 참고 서적 ※ 고려사 5백년, 박종기, 푸른 역사 이야기 고려왕조사, 최범서, 청아 출판사 고려시대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 한국역사연구회, 청년사
고려 거란 여진
Ⅰ. 서론
고려시대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 한국歷史연구회, 청년사
2) 몽고의 2차 침입
Ⅲ. 結論
1. 배경
1) 몽고의 1차 침입
Ⅱ. 자료(data) 요약
1) 거란의 1차 침입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다. 그러나 이 해 거란이 여진을 정벌하고 발해의 후신인 정안국을 점령하자, 고려는 이를 경계하여 송의 원병을 거절한다. 송에 원병을 보냄으로써 가까운 거란과 불필요한 마찰을 일으키는 게 고려의 국익에 도움이 되지 않았기 때문일것이다
2) 강동6주와 거란의 2, 3차 침입
그 후 거란은 송과 전쟁에 앞서 933년 고려를 1차 침입한다. 처음에 화친론자들이 서경 이북의 땅을 거란에 주고 항복하자고 했지만 서희는 일단 얘기를 나누어보고 결정하자고 하였다. 서희는 거란 장수 소손녕과 만나서 거란의 목적이 송과 고려의 관계를 차단하는 데 있다는 것을 알고, 그들의 요구를 들어주는 대신 고려에서 거란으로 가는 길목인 압록강 일대를 고려의 영토로 편입시켜줄 것을 요청한다.
4) 금나라와 거란
고려와 북방민족간의 전쟁입니다. 거란이 이를 승낙하여 고려는
2. 거란과 여진
3) 여진정벌
1) 거란의 1차 침입
Download : 고려와 북방민족간의 전쟁.hwp( 96 )
※ 참고 서적 ※
설명
고려사 5백년, 박종기, 푸른 歷史
이야기 고려왕조사, 최범서, 청아 출판사





3. 몽고
순서
고려와 북방민족간의 전쟁입니다.
[歷史] 고려와 북방민족간의 전쟁
3) 전쟁 이후
거란과 대립하던 송나라는 985년 사신 한국화(韓國華)를 고려에 보내 거란 공격을 위한 원병을 요청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