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치균의 관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02 12:01
본문
Download : 김치균의 관찰.hwp
김치 발효에 젖산균이 작용하지만 젖 산균의 종류도 다양하다. 중기와 후기에 등장하는 젖산균인 락토바실루스, 플란타룸은 다른 해로운 균을 사멸시 키지만 산을 과도하게 생산해 김치 산패의 원인(原因)이 된다
예를 들면 섭씨 5도에서 김치속의 젖산균과 일반 미생물의 變化(변화)는 서로 다르게 나타난다.
이렇게 되면 김치속의 효모나 곰팡이가 다시 자라기 처음 해 김치의 맛이 변한다.
2) 김치에 관련된 미생물
*호기적 세균
Pseudomonas mira, Pseudomonas nigrifacreus, Bacillus maceraus
*혐기적 세균
Leuconostoc mensenteriodes, Streptococcus faecalis (초기)
Pediococcus cereviseae (중기)
Lactobacillus plantarum, Lactobacillus brevis (말기)
Lactobacillus mesenteroides 는 초기에 많이 번식 : 젖산과 탄산가스를 생성하여 김치를
산성화 및 혐기상태로 함으로써 호기성 잡균의 번식을 억제.
발효 숙성 과정에 관여하는 미생물
김치발효는 대체로 재료에 존재하는 야생미생물들에 …(drop)
김치균의관찰
김치균의 관찰
Download : 김치균의 관찰.hwp( 53 )


다. 즉 김 치에서 군내가 나고 갈색으로 변하게 되는 것이다. 김치속의 젖산균은 채소류에 들어 있는 당을 젖산으로 바꾸어 해로운 균을 사멸시킨다.
김치가 익고 난 뒤 젖산균도 스스로 생산한 유기산에 견디지 못하고 사멸하기 처음 한다.
초기 발효에 관여하는 젖산균은 류코노스톡크, 메센테로이데스로 김치의 맛을 알맞게 한 다.
익은 김치는 대개 pH4.5~4.0정도로 이때 클로스트리듐 살모넬라 등 식중독균은 절반이하 로 줄어든다.레포트/공학기술
순서
설명
김치균의관찰 , 김치균의 관찰공학기술레포트 ,
,공학기술,레포트
1) 김치와 미생물
김치는 젖산 발효식품이다. 젖산균은 김치가 완전히 숙성되는 50일까지 계속 증가하다가 그 이후 약간씩 감소하고 일 반 미생물은 초기 10일까지는 약간 증가하다가 50일까지 감소한 뒤 급격히 증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