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화의 관념과 한국의 수화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12 21:30
본문
Download : 수화의 개념과 한국의 수화.hwp
※ 한국의 자연수화(전통적 수화)와 문법적 수화의 언어학적 특징(석동일, 1989)
◎ 한국 수화의 사용 용례
⑴ 수화문 : 나…(skip)
레포트/인문사회
수화의 관념과 한국의 수화



우리 나라의 수화의 유형은 수화의 생성 요인과 구성 요소와 표현 방법에 따라 그 유형을 자연적 수화(농아식, 자연발생적 수화)와 고안된 문법적 ... , 수화의 개념과 한국의 수화인문사회레포트 ,
우리 나라의 수화의 유형은 수화의 생성 요인과 구성 요소와 표현 방법에 따라 그 유형을 자연적 수화(농아식, 자연발생적 수화)와 고안된 문법적 ...
순서
Download : 수화의 개념과 한국의 수화.hwp( 74 )
다.(최성규, 1997)
자콥스(Jacobs)는 자연발생적 수화(전통적 수화)는 청각장애인의 마음에서 생긴 관념의 순서에 따라 사용된 수화이고 이 수화에는 관습적인 것과 인위적인 것이 있으며 문법적 수화는 문자언어의 어순에 따라 필요한 문법적 기호나 단어의 變化를 수반하는 수화라고 definition 하였다.
한국표준수화의 언어적, 어원적인 變化는 일반언어의 생성·變化·발전·소멸 과정을 겪는 것과 같이 일어난다. 그러나 건청인 중심의 수화 편찬은 자연수화의 變化나 발전이라는 차원보다는 한국어 문법을 중심으로 수화를 개량했다는 차원으로 이해된다
서울선 희학교(구 서울농아학교) 또는 교육부가 1991년에 출판한 `한글식 표준수화`라는 것은 앞에서도 언급했듯이 표준이라는 standard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상표와 같은 것이다.
설명
,인문사회,레포트
우리 나라의 수화의 유형은 수화의 생성 요인과 구성 요소와 표현 방법에 따라 그 유형을 자연적 수화(농아식, 자연발생적 수화)와 고안된 문법적 수화(동시법적 수화, 교육부의 한글식 표준수화, 1991)로 나눌 수 있따
한국표준수화, 즉 수화(Korean Sign Language)라는 것은 자연발생적 수화를 의미한다. 즉 한국표준수화에 관련되어는 독자의 혼란을 막기 위해 명확한 구분이 필요하다.
日本 의 경우는 세 가지 유형으로 전통적 수화, 동시법적 수화, 중간형 수화로 구분하고 있으며, 미국도 ASL(Ameslan : 미국의 농아식 수화, 미국표준수화)과 문법적 수화로 대별할 수 있으며 문법적 수화에는 많은 수화의 종류가 있따 한국의 자연수화와 문법수화간의 차이와 특징은 다음과 같다. 즉 한국표준수화라고 하는 것은 자연수화(KSL)에 기초한 표준수화를 의미하는 것이므로 교육부에서 편찬한 수화는 한국표준수화가 아니라 국어식 문법수화라고 명명해야 수화 편찬의 의의와 목적에 타당할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