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사회와여성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21 06:50
본문
Download : 우리사회와여성.hwp
인간의 힘으로 막을 수는 없지만, 인간이 비난하고 등 돌릴 수 있는 일이었던 것이다. 이렇게 되기까지는, 남성와 동등해지기 위한 과거 선배 ‘배드 걸’들의 정치, 경제, 사회 전반에 걸친 투쟁이 있었다. 여성의 한은 봄날에 서리를 내린다는 비유를 들 만큼 지독하다, 그렇다면 왜 한을 품었던 것일까, 생각해보면 어렵지 않다. 그 노력은 단단히 잠겨있던 남성의 세계가 마지못…(투비컨티뉴드 )
우리사회와여성
순서
레포트/인문사회
우리사회와여성
우리사회와여성 , 우리사회와여성인문사회레포트 , 우리사회와여성
Download : 우리사회와여성.hwp( 30 )
다. 이른바 나쁜 여자 신드롬이다. 한을 품은 여성은 농업사회인 우리나라에 자연적 재해를 가져오는 것과 같이 꺼리던 대상이었다. 한을 품는 자체는 이미 정숙하고 순종적인 여성이 해서는 안 될 일이었다. 여성은 참아야 했다.
1)착한 여자는 천국에 가지만, 나쁜 여자는 어디로든 간다 - 배드 걸(Bad Girl)신드롬
이제, 나 자신이 살고 있는 지금의 세상에서는 이런 말이 통한다.




우리사회와여성,인문사회,레포트
설명
REPORT
김승민
우리 사회와 여성
여자가 한을 품으면 오뉴월에도 서리가 내린다 - 우리나라, 그리고 여성
한국인이 아니라면 잘 이해하지 못할 속담이다. 고생과 원망이 지독했기에 그 한도 지독했던 것이다. 원피스에 머리띠를 하고, 생머리를 나부끼던 청순가련한 여주인공은 늘 그렇듯이 불치병에 걸려 천국에 가버리고, 세상은 나쁜 여자들의 것이 되었다. 우리는 모두 알고 있는 ‘한’의 定義(정이) 조차 명확하지 않고, 어째서 여성이 그리도 무시무시한 존재가 되는지 의아할 것이기 때문일것이다 하지만 이 속담 한 줄이, 우리나라에서 여성이 어떻게 인식되어 왔는지 나타내고 있기도 한다. 태어난 이후로 딸이기에 겪어야 했던 수많은 差別과, 원하지도 않는 상대와의 결혼과, 결혼 후 이른바 ‘시집살이’ 속에서 나타나는 역경들, 그리고 자식을 기르면서 겪는 고통까지 모두 참고 견뎌야만 했다. 굿이나 타령 같은 통로로 한을 풀던 우리 민족은, 그러한 여성의 한이 얼마나 깊고 아팠는지를 잘 알고 있었지만, 동시에 그들은 여성을 외면했다. 모든 것을 마음 속에 꾹꾹 눌러오기만 했던 여성들은, ‘한’의 정서를 대표하는 존재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