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시론] <放通大 09-2 현대시론 공통>김현승 시의 주제의식이 변모 발전되어가는 양상에 대하여 논하기오.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2 11:04
본문
Download : 김현승 시의 주제의식.hwp
김현승의 작품과정을 보면 자연미에 대한 동경과 예찬에서 출발하여 점차 인간의 영혼세계에 관심을 둔 기독교 신앙으로 결국 자아와 신앙간의 회의적인 갈등으로 나아가다가 다시 원숙한 신앙의 세계로 돌아오게 된다. 특히 그는 사상이 없는 시는 무정란이라는 시론까지 전개하며 사상과 시를 하나로 통합시키는 데 성공하였고 종교와 철학의 추상과 관념을 물화하여 형이상성으로 시를 감각화 하였다. 그의 시의 중심 사상이 된 고독은 신을 잃어 버렸기 때문인데 그는 여기에서 절망이나 회의에 빠지지 않고 끊임없는 자아 탐색을 통하여 인간 생명과 진실을 노래,보편적 진리에 도달한 것이다. 그러나 그는 이러한 상황을 극복하고 1970년대로 넘어오면서 다시 기독교에 대한 절대적인 신앙의 상태로 전환한다. 이 점을 고려한다면 김현승이 신앙의 회의를 보여주는 시기와 다른 시기의 시세계가 지닌 차이를 검토하는 일은 상당한 의미가 있을 것이다. 그의 전 생애와 관련지어 생각해 본다면, ‘고독’ 관념이 기독교적인 신을 부정한 자리에 서 있을지라도 그 의미는 다시 생각해 보아야 할 것이다. 다형(茶兄) 김현승은 양심과 신앙 속에서 시작생활을 해 왔던 시인이었다.
고독, 김현승, 김현승시의 주제의식, 김현승시의 주제의식 변모, 현대시론, 국어국문학과, 국어
다. 이 두 가지 요소는 김현승에게 있어서 어느 한 면의 극단적인 강조나 배제의 관계가 아닌 때론 상충하고 때론 병행하면서 시화하고 있는데, 이 관계에 대한 고찰은 김현승 시정신의 맥락을 살피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양심적이라 함은 그의 생활에 있어서 인간 중심의 사고의 속성 을 말해 주는 것이요, 신앙적이라 함은 그 누구보다도 기독교를 바탕으로 한 종교적 심성을 시화했음을 의미한다.따라서 기독교라는 바탕에서 정신세계를 구축하였고 여기에서 자기 구원의 방법을 모색한 것이 그의 시의 발자취였던 것이다. 다형의 시를 주제의식이 변모·발전되어가는 양상에 따라 1기(30년대-8.15해방까지), 2기(8.15해방부터 60년대 중반까지),3기(60년대 중반 이후), 4기(70년대)로 나누어 각 시대의 대표적인 시를 통해 알아보고자 한다. 투명한 언어의 엄격성,함축미,간결한 정제미 등은 그의 시의 특징을 이루고 있다. 고독의 문제를 다루고 있는 1960년대의 시에서 기독교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을 보이는 것이 그 한 예이다. 3기(60년대 중반 이후) - 고독의 내면세계로의 침잠
참고reference(자료)
- 다양한 資料를 바탕으로 체계적으로 정리(arrangement)하였습니다
다. 이 시기에 그는 적극적으로 기독교적인 신을 부정하면서 자아의 내면 속으로 침잠해 간다. 여기에는 상당한 세계관의 變化(변화)가 내포되어 있다.
곽광수, “김현승의 고독”, 숭실어문학회편, 다형 김현승 연구, 보고사.
나. 2기(8.15해방 ~ 60년대 중반) - 기독교 정신의 구현
- 放通大 09-2 국어국문학과 3학년 현대시론 공통 참고資料입니다
김희보, “김현승 시와 기독교적인 실존”, 한국문학과 기독교, 현대사상사, 1979.
오세영, 한국 현대시 분석적 읽기, 고려대학교 출판부, 1998.
- 가을의 기도
김용직 편, 한국현대시 작품론, 문장, 1994.
- 가을
에른스트 피셔(김성기 옮김), 예술이란 무엇인가, 돌베개, 1984.
김현승 시에 나타난 전이적 상상력 연구, 서울대 대학원 석사 논문
가. 1기(30년대 ~ 8.15해방) - 자연의 예찬을 통한 민족적 낭만주의
- 방통대 09-2 국어국문학과 3학년 현대시론 공통 참고자료입니다 - 다양한 자료를 바탕으로 체계적으로 정리하였습니다 - 많은 도움 되시기 바랍니다 [참고자료] 금동철,김현승 시의 ‘고독’과 은유의 수사학(2001)아주대 김현승 시와 기독교적 상상력, 숭실어문학회 편, 다형 김현승 연구 김현승 시에 나타난 전이적 상상력 연구, 서울대 대학원 석사 논문 김현승 시의 생명시학적 연구, 최승호 편, 21세기 문학의 유기론적 대안, 다형 김현승 연구, 숭실어문학회 김현승 시에 나타난 기독교 의식, 숭실어문학학회 편, 다형 김현승 연구 곽광수, “김현승의 고독”, 숭실어문학회편, 다형 김현승 연구, 보고사. 권영진, “김현승 시와 기독교적 상상력”, 숭실어문학회 편, 다형 김현승 연구, 보고사. 권오만, “김현승과 성․속의 갈등”, 김용직 외, 한국현대시사연구, 일지사, 1983. 금동철, 한국 현대시의 수사학, 국학자료원, 2001. 기진오, 한국 기독교 문학사론, 성서신학서원, 1995. 김옥성, “김현승 시에 나타난 전이적 상상력 연구”, 서울대 대학원 석사 논문, 2001. 김용직 편, 한국현대시 작품론, 문장, 1994. 김준오, 시론, 삼지원, 1997. 김희보, “김현승 시와 기독교적인 실존”, 한국문학과 기독교, 현대사상사, 1979. 손진은, “김현승 시의 생명시학적 연구”, 최승호 편, 21세기 문학의 유기론적 대안, 새미, 2000. 숭실어문학회 편, 다형 김현승 연구, 보고사, 1996. 슈타이거(오현일 외역), 시학의 근본개념, 삼중당, 1978. 신익호, “김현승 시에 나타난 기독교 의식”, 숭실어문학학회 편, 다형 김현승 연구, 보고사, 1996. 야콥슨(신문수 편역), 문학 속의 언어학, 문학과지성사, 1989. 에른스트 피셔(김성기 옮김), 예술이란 무엇인가, 돌베개, 1984. 오세영, 상상력과 논리, 민음사, 1991. 오세영, 한국 근대문학론과 근대시, 민음사, 1996. 오세영, 한국 현대시 분석적 읽기, 고려대학교 출판부, 1998. 장백일, “원죄를 끌고 가는 고독”, 현대문학, 1969. 5.
손진은, “김현승 시의 생명시학적 연구”, 최승호 편, 21세기 문학의 유기론적 대안, 새미, 2000.
김현승 시에 나타난 기독교 의식, 숭실어문학학회 편, 다형 김현승 연구
권영진, “김현승 시와 기독교적 상상력”, 숭실어문학회 편, 다형 김현승 연구, 보고사.
슈타이거(오현일 외역), 시학의 근본concept(개념), 삼중당, 1978.
- 겨우살이
Download : 김현승 시의 주제의식.hwp( 38 )
오세영, 상상력과 논리, 민음사, 1991.
야콥슨(신문수 편역), 문학 속의 언어학, 문학과지성사, 1989.
설명
기진오, 한국 기독교 문학사론, 성서신학서원, 1995.
- 눈물
3. 김현승의 시세계의 시기별 특징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 많은 도움 되시기 바랍니다 [참고資料] 금동철,김현승 시의 ‘고독’과 은유의 수사학(2001)아주대
오세영, 한국 근대문학론과 근대시, 민음사, 1996.
- 아버지의 마음
순서
숭실어문학회 편, 다형 김현승 연구, 보고사, 1996.
김현승 시의 생명시학적 연구, 최승호 편, 21세기 문학의 유기론적 대안,
김옥성, “김현승 시에 나타난 전이적 상상력 연구”, 서울대 대학원 석사 논문, 2001.
라. 4기(70년대 초반 이후) - 고독의 극복과 인간의 본질을 추구
1. 들어가며
[현대시론] <放通大 09-2 현대시론 공통>김현승 시의 주제의식이 변모 발전되어가는 양상에 대하여 논하기오.
다형 김현승 연구, 숭실어문학회
1. 들어가며
- 견고(堅固)한 고독
김현승 시와 기독교적 상상력, 숭실어문학회 편, 다형 김현승 연구
권오만, “김현승과 성․속의 갈등”, 김용직 외, 한국현대시사연구, 일지사, 1983.





금동철, 한국 현대시의 수사학, 국학資料원, 2001.
2 작가 紹介(소개)
장백일, “원죄를 끌고 가는 고독”, 현대문학, 1969. 5.
4. 맺음말
김준오, 시론, 삼지원, 1997.
신익호, “김현승 시에 나타난 기독교 의식”, 숭실어문학학회 편, 다형 김현승 연구, 보고사, 1996.
고독의 시인`으로서 알려져있는 김현승시인은 기독교 가정에서 성장하여 종교사상을 바탕으로 새로운 신앙시와 양심의 시를 개척했는데 종교적인 측면에서는 관념의 세계를 신앙적 정면대결 정신으로 극복하였고, 윤리적으로는 인간의 실존적 자아 탐구에 고뇌, 끝내는 신의 절대주의적 경지에까지 이르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