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피엔드밀애분석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11 14:11
본문
Download : 해피엔드밀애분석.hwp
해피엔드밀애에 대하여 분석해 보았습니다.
<정사장면의 묘사방식의 차이>
편집방식의차이
해피엔드- 롱샷과 클로즈업등을 왔다 갔다하는 편집을 하고 있으며 주인공들의 앞, 뒤,측면
등을 골고루 왔다갔다 하면서 편집하고 있음
밀애- 미디엄샷 정도로 계속해서 롱테이크로 가져감
카메라워크의 차이
해피엔드-헨드헬드로 자주 이동하면서 카메라…(drop)
,인문사회,레포트
해피엔드밀애분석1
설명
해피엔드밀애에 대하여 분석해 보았습니다.해피엔드밀애분석1 , 해피엔드밀애분석인문사회레포트 ,
순서
다.
밀애
반면 밀애에서는 그런 김윤진이 여성에게 강요된 그런 가부장제적 테두리를 간단히 걷어차고 이종원과의 만남을 통해 사회구조보다 우선하는 한 인간으로서의 정체과 자아를 찾아가는 과정을 묘사함으로써 불륜에 덧씌워진 결혼생활의 파괴자, 가족해체의 주범 이라는 논리를 뛰어넘는다.






해피엔드밀애분석
레포트/인문사회
Download : 해피엔드밀애분석.hwp( 45 )
해피엔드와 밀애의 비교
<주제의식의 차이>
해피엔드
두 영화의 본질적인 차이는 결혼과 가족이라는 가부장제적 테두리로 부터 남성과 여성을 해방시킬수 있다고 보는지 아닌지에 있다 해피엔드에서는 기존의 가부장제적 질서의 가족구조를 `가정과 가족의 해체는 나쁜것이다`라는 논리로 옹호하려는 듯한 모습이 보인다 그래서 결국은 남성이건 여성이건 이 영화 속의 등장인물은 그런 가부장제적 틀 속에서 사고와 행동의 반경이 정해지고 있다 결국 그런 가부장제적 테두리를 벗어나는 도구로써 불륜에 대한 저항심리가 해피엔드에서는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두 영화의 이러한 차이는 결국 남자감독으로서 성장해오면서 정지우 감독이 갖게 될 수 밖에 없었던 남성중심적 시각의 한계라고 conclusion(결론)을 내릴수 있다 변영주 감독은 그런 장애 물이 없었기 때문에 좀더 다른 관점에서 영화를 만들수 있었던 것 같다.
정리(arrangement)하자면 해피엔드는 지켜야 할 가치로서의 기존의 사회구조나 남녀관계의 가부장제적 질서가 영화의 중심이라면 밀애는 여성 개인..그런 사회속에서 살고있는 한 사람의 자아와 정체성을 찾을 권리를 더 중요하게 생각한다. 그래서 그런 강요된 사회구조와 질서보다 상위가치로서의 개인의 삶, 특히 여성의 삶을 말하려고 하는 것이다.